유동성의 사사화 (mobile pricatization)
"유동성의 사사화 (mobile pricatization)"
레이먼드 윌리엄스(1974) : 유동성의 사사화 (mobile pricatization)
- 미디어 소비자들의삶의 변화, 특히 근대의 일상생활에서 시간과 공간, 장소의 배치를 바꿔 놓는 변화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설명틀로서 유동성의 사사화라 제시
※ 물리적 거리를 넘어선 여행이나 커뮤니케이션을 바탕으로 살아가는 근대사회의 모순적인 경향을 하나로 묶는 근대사회의 독특한 삶의 방식.
기틀린(1990) : 시공간의 원격화
기든스 : 장소귀속탈피 : 장소 ≠ 공간
- ex) 돈의 역할이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사람들간의 관계를 촉진시키는 상징적 지표(symbolic token)라고 정의. 돈이 물리적 통화가 아닌 정보의 형태가 된다면 돈은 교환을 위한 특별한 환경이 필요 없도록 할 것이며, 이것이 시간-공간 원격화를 의미.
절합(스튜어트 홀, 1992) : 혼종성의 문화 발생
- 혼종성의 문화(culture of hybridity) : 직접적 이동 + 정보의 이동 => 혼종서의 문화 발생
- 일상생활과 지구적 단위간(위성방송, 인터넷 등)의 새로운 절바의 결과물로서 혼종성의 문화 발생
- 수용자가 미디어를 통해 공통체 인식(정체성)을 형성
※ 유동성의 사사화 : 필요에 의한 20C초의 요구(새로운 삶의 방식) - 유동적이면서 가정중심적 성향의 발생
전화+카메라_라디오의 내구화 (생활에 절합) => 초기 개인매체 - 기술의 진보로 가족매체와
- 현대 개인매체로 변화
출처 : 미디어와 일상, 커뮤니케이션 북스 / Shaun Moore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