각종 이론

의제설정 이론(Agenda Setting thepry)

不惑에도 앞 못보는 못난이 2023. 3. 16. 08:19

의제설정 이론(Agenda Setting thepry)





등장

▲ 버나드 코헨(Bernard Cohen, 1963) - 생각해 볼 거리를 제공. (결론을 내려주면 의제설정 이론은 비 성공적)

-능동적 수용자론에 근거 하여 미디어 의제의 능동적 의견을 형성

▲ 맥콤과 쇼의 채플힐 연구 - 뉴스의 이슈와 유권자의 인식간 상관관계 : ex) 정치적 선거 - 뉴스의 이슈 - 유권자들도 뉴스와 같은 인식화

▲ 맥콤과 쇼의 샬로트 연구 -미디어 의제와 공중 의제 간의 인과관계 : 공중의제 - 미디어 의제의 안과관계 연구



개념 및 측정

▲ 미디어 의제란? : 언론에서 다루는 뉴스 아이템 / 측정방법 : 내용 분석

▲  공중 의제 : 공중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슈 / 측정방법 : 설문 조사



의제 설정의 원인과 시간 지체

▲ 원인 VS 효과 ( 독립변인-미디어 의제- VS 종속변인 -공중의제-)

- 시간이 흐른 후 미디어 의제가 공중 의제가 되는 양상 발생 (미디어 의제 ->(영향)->공중의제

▲ 신문이 TV에 비해 의제설정의 효과가 길게 지속

▲ TV뉴스의 경우 4-5일째에 의제 설정 효과가 가장 강함

▲ 뉴스의 속성에 따른 의제의 방향

-unobtrusive : 두드러지지 않은 뉴스로 미디어 ->공중의제화 : 미디어 의제에 의해 밝혀지지 않으면 알 수 없는 뉴스 ex) 천재지변 등.

- obtrusive : 드러나 보이는 의제 : 기존에 알고 있는 문제(인지하고 있는 문제) 공중의제-> 미디어 의제화의 경우 존재



의제설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개변인

▲ 지향욕구 : 개인에 대한 정보의 적절성(유용성-나에게 얼마나 필요한 정보인가?), 메시지 주제와 관련된 불확실성의 정도(개인적 관여도가 높을경우-내가 주로 모르는 이야기이나 냐가 알아야할 내용의 경우 공중의제화)

▲ Unobtrysive news : 스스로 알수 없기 때문에 미디어에 의존

▲ 점화효과 : 특정 이슈 부곽 (단기적 효과)

▲  언론사의 이데올로기(ex보수VS진보) 편향성

▲ 구체적 이슈와 추상적 이슈의 영향



넓은 의미의 의제설정 과정

▲  미디어 의제, 공중의제, 정책의제, 매스커뮤니케이션&사회학(미디어, 공중 의제), 정치학&행정학(정책 의제)



2단계 의제 설정 - 속성의제 설정

▲  이슈가 아닌 이슈(태도에 대한 부분 : 태도변화)의 속성에 초점

▲ 속성의 종류 : 인지, 정서적 속성 (태도에 영향을 미치려고 하는 것) : 어조, 뉴스의 톤, 논조 : 평가적 요솨 들어가 있는(공중의 태도도 변화시킬 수 있음.

▲ 긍정적 혹은 부정적 태도가 공중에 미치는 영향 : 이슈의 속성에 긍정 or 부정 태도 반영된 의제는 수용자 태도 변화에 영향

▲  태도의 방향을 제시 "이렇게 해"



가치와 평가

▲ 장점

-수용자와 미디어의 상호작용에 초점

-수용자의 미디어노출과 지향동기를 공공 이슈에 대한 수용자 인지라는 측면을 연결하여 경험적으로 증명 (수용자-미디어 선택-공중의제에 노출/관심 등 포함 : 미디어 의제를 통해 공중의제 이해)

- 점화효과(짧은 시간 단기적은 효과), 스토리 포지셔닝(이슈의 위치를 어떻게 포지셔닝 하는가?), 스토리 가시성(잘 보이게)과 같이 유사한 개념들을 통합

▲  단점

- 대중사회 이론(수동적인 대중)에 기초하고 있음.

- 뉴스와 정치 캠페인에 대해지나치게 상황적 지엽적(그 부분에만 해당된다는 비판) 특성을 갖는다.

- 의제 설정 효과의 방향이 의문시됨. (미디어의제 ↔ 공중의제 ? 방향성 의문)

▲  언론의 역할 : 거울(있는 그대로의 투영) VS 탐조등 (어느 부분을 조명할 것인가?)

▲ 미디어의 관심을 끄는 5가자 메커니즘(Funkhouser, 1973)

-사건의 흐름에 대한 미디어의 적응

-갈등을 유발하는 중요한 사건의 과잉보도(사건의 내용이 변질 될수 있는 문제)

-기사 가치가 있는 부분의 선택적 보도

-의사사건 혹은 기사가치 있는 사건으로 만들기

-기사가치가 없는 사건으 가치 있는 방식으로 묘사



미디어의 의제가 되는 과정(미디어 의제 구축 과정)

▲ 특정 사건이나 활동 강조

▲ 각기 다른 종류의 이슈 - 주목을 끌기 위한 서로 다른 보도 유형과 분량 사용

▲ 관심의 초점 틀짓기(어떻게 해석을 할 것인가? 사건의 이해방식의 차이) : 해석 영역 제한

▲  언어의 선택을 토한 이슈의 중요성 부각 (어조 / 논조 등)

▲ 사건의 상징적 의미 : 사건의 정치적 위치를 쉽게 알 수 있도록 이차적 상징과 연결

▲  공신력 있는 특정인의 의제구축 가속화 (의사 표명 등, 주로 해당 분야의 엘리트 집단의 의사 표명 등을 통한 의제 구축)